본문 바로가기
드라마로 배우는 영어

<루시퍼>속 일상 영어 표현 (01)

by 봐리 2024. 8. 11.

'진짜 악마' 루시퍼가 형사 데커와 함께 인간 세상에서 일어나는 강력계 형사 사건들에 대응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 <Lucifer>.

 

천사/악마/천국/지옥이라는 판타지 테마와 함께 강력한 매력으로 '독심술' 을 펼치는 루시퍼의 매력, 그리고 매 화마다 이어지는 옴니버스 형식의 드라마로 많은 인기를 얻었습니다.

 

저는 시즌이 6개나 되는 이 드라마를 미루고 미루다가 이제야 3화 중반을 보고 있는데요. 드라마를 쭉 시청해가면서 '아 이런 상황에 이런 표현을 쓰는구나.' 싶은 영어 표현이 있으면 정리하며 영어 공부를 해보고자 합니다.

(아주 적확한 해석이라기보다 드라마의 맥락에 따라 개인적인 해석이 많습니다.)

 

*이 포스팅은 시즌 3 3화 :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를 다루고 있으며, 이 에피소드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Maze : What are you doing here, Dan?

Dan : I don't know, Maze, you tell me. (...) I'm getting worried phone calls from Chloe asking me to check up on you.

Maze : And you did it?

Dan : I was on a layover on Vancouver.


댄은 메이즈의 상황을 '살펴봐 달라'(check up)는 클로이의 전화를 받고 왔기 때문에 '내가 왜 너를 살펴봐야 하는지 메이즈 네가 말해봐라' 라는 식으로 You tell me. 라는 표현을 쓰네요.

 

Layover은 24시간이 넘지 않는 항공 연결편 환승을 뜻한다고 합니다.

24시간이 넘을 경우 Stopover이라는 단어를 쓰네요.

(출처 :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znlovey&logNo=221441228565)

 


 

Dan : Sounds like a long shot.

Maze : You think I got played?

Dan : I think Rivers is a conman.


"Sounds like a long shot."은 굉장히 멀리 있는 타겟을 조준한다, 정도의 의미로 성공 가능성이 희박한 일을 말한다고 하네요.

메이즈가 하려던 일이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댄이 말하자 메이즈가 '내가 놀아난 것 같냐?' 라고 got played라는 표현을 씁니다.

conman은 사기꾼이라는 뜻의 단어네요.

 


 

 

Maze : Why? So, they can nice the bad guys to death?

Dan : This whole thing can get real messy real fast.


여기서 메이즈는 상황을 비꼬고 있는데, 그래서 주로 형용사로 쓰이는 nice가 동사로 쓰이는 것 같습니다.

보통 ~to death는 scare them to death! 라는 식으로 그들을 죽음의 공포에 떨 정도로 극단적으로 무섭게 해라!

이런 느낌으로 쓰이는데, nice the bad guys to death는 나쁜 사람을 죽음 앞에 가 있을 정도로 극단적으로 착해지게 하라.

는 뜻으로 그들이 나쁜 놈들을 그렇게까지 착해지게 할까? 교화하게 둘까? 정도의 뜻이 됩니다.

~to death가 보통 부정적이고 극단적인 방법을 설명할 때 쓰이는 점을 꼬아서 긍정적인 단어를 붙임으로서,

긍정적인 방법으로 나쁜 사람들을 좋게좋게 설득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비꼬고 있다고 봐야겠죠. (어렵네요!)

한국어 쪽으로 봤을땐 '걔들이 참 알아서 나쁜놈들 착해지게 자~알 하겠다.' 이런 표현일 것 같네요.

 

get real messy real fast. 는 라임이 맞아서 말할 때 간편히 쓰이는 표현 같습니다. 문법적으로는 get really messy real fast. 가 맞다고 하죠.

영미권에서는 일이 꼬이거나 엉망이 된다고 할때 messy(지저분하다, 어지럽혀지다) 라는 표현을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Maze : Fine, have it your way.

Dan : I'm surprised that you actually agreed. It shows growth. It's healthy.


have it your way.는 '네 방식대로 해라, 네 마음대로 해라.' 라는 뜻이 됩니다.

미국 드라마 중 'Broklyn 9-9(브루클린 나인나인)' 드라마 클립으로 유명한

Backstreet boys의 노래 <I want it that way.> 도 비슷한 표현의 가사가 있는 노래인데요.

 

You are my fire, the one desire,

Belive when I say, I want it that way.

 

내가 '그 방식(있는 그대로)이 좋다.' 고 말하면 나를 믿어줘요. 라는 뜻의 가사입니다.

my way, your way 등 '길'이라는 표현이 '방식'이란 표현으로도 많이 쓰이네요.

 


 

It shows growth.


메이즈가 동의했다는 행동이 메이즈의 성장을 보여준다고 해서 행동을 가리켜 It을 쓴 것 같습니다.

많이 컸네, 성장했네. Maze has grown up! 등의 두루뭉술한 표현보다 메이즈의 특정한 행동을 It이라고 지칭한 게 인상적이네요. (앞의 표현은 키가 많이 컸네! 등의 신체적인 성장을 표현할 수도 있기는 하죠.)

 


 

 

Lucifer : It seems this Rivers fellow may have indeed hoodwinked Maze.


this Rivers Fellow라니 '이 Rivers라는 친구가~' 라는 식의 한국어 표현이 딱 들어맞는 표현이네요. Fellow를 이름 뒤에 바로 붙여서 이 친구가~ 이렇게도 쓰는 모양입니다.

 

may indeed~는 과연 그랬구나! 정도의 강조/감탄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indeed. 는 혼자 쓰면 그렇군. 인정! 이정도의 뜻으로도 쓰이는데 문장 속에서 동사 앞에 쓰이면 과연~역시~ 이런 식으로 강조하는 형태로 쓰입니다.

 

hoodwinked는 뭔가 trick을 써서 속이다. 라는 뜻이군요. 아까의 사기꾼 Conman이 hoodwinked했다. 이렇게 쓸 수 있겠습니다. 동의어로는 to blindfold가 있는데, blindfold가 말 그대로 눈가리개인 걸 생각해보면 눈속임하다, 등 뭔가 단순히 말장난으로 속인다기보다 행동을 취해서 속이는 느낌이 강한 것 같습니다.

드라마 내용으로도 Rivers가 메이즈를 속여서 물리적으로 달아나기도 하고요.

 


 

Chloe : He claims that he was forced to pin the murder on him.


to pin something on someone : to lay the blame for something on someone이라고 Collins 사전이 정의하는데요.

뒤에 루시퍼가 An innocent man wrongly accused? 라고 반문하는데 세 표현 모두 알아두면 좋을 것 같네요.

잘못을 뒤집어쓰다, 누명을 쓰다. 라는 의미입니다.

한국어도 잘못이나 누명을 '쓰다.' 라고 표현하는 것처럼, 잘못/누명을 pin on(잘못이 핀으로 꽂혔다.), lay for(잘못이 나에게 놓여졌다.) 라는 특이한 표현이 따라오네요. wrongly accused가 잘못 고발당하다. 로 사전 같은 표현이고요.

 


 

Chole : It's not like Maze to reach out with a lead.


It's not like that. = 그런 뜻이 아니야. 로 반박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죠.

근데 It's not like 인물 to 접근하다/실마리와 함께 이렇게 쓰이는 건 처음 보네요.

의미는 메이즈도 실마리가 있어서 접근한 건 아니잖아. 같이 단순하게 풀이되는 것 같은데...

 

그냥 It's not like that. 그런 뜻이 아니야.

It's not like Maze. 라고 하면 메이즈답지 않다.

인데 메이즈가 실마리가 있어서 접근한 건 아니다. 가 Maze didn't reach out with a lead. 가 아닌 이런 표현이 쓰이는 게 흥미롭습니다.

 

Cambridge Dictionary를 찾아보니 도움을 주다 라는 뜻으로 Reach out (to someone)으로 to가 붙어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네요. reached out으로 ed를 붙인 형태로도 쓰이네요.

 

It's not like Maze to reach out with a lead.

It's not like Maze reached out with a lead.

 

이렇게 두 가지 방식으로 모두 사용되는 표현이네요.(저는 묘하게 후자가 더 자연스럽게 느껴지는데... 사전에 (to someone)이 붙어있는 걸 보면 to를 붙여서 쓰는 게 더 잦은 표현인 것 같네요.)

 


 

Lucifer : Oh. Low blow, Detective.


Low blow를 구글링하면 가장 먼저 Oxford 사전, 권투에서 벨트 라인 아래를 치는 일. 반칙임. 이렇게 뜨네요.

벨트 라인 아래는 급소라서 권투에서 하면 안 되는 반칙이 됩니다.

그래서 일상 대화에서 Low blow를 말하면 야비한 행동, 예상하지 못한 반칙 등으로 해석되네요.

드라마 맥락으로도 "그런 말을 하다니 치사하다." 정도의 상황입니다.

 


 

Lucifer : I.e. tell us what we all already know.


I.e.는 Id est의 약자로 That is라는 뜻의 라틴어입니다. 방금 말한 주제에 대해 더 자세히 말하겠다는 뜻입니다.

같이 흔히 쓰이는 e.g.는 exempli gratia의 약자로 for example, ex. 와 같은 줄임말로 예시를 들겠다는 뜻입니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idpielts/222886300343)

 


 

Chloe : Is it true that you saw Rivers shoot those kids at point-blank range?


이 드라마의 장르가 수사물이라서 point-blank가 직역으로 쓰였고, 그 때문에 뒤에 range라는 거리 측정 단어가 나왔습니다. 원래 point-blank는 아주 가까이에서 (총으로) 쏜, 이라는 뜻이 있는데 일상 회화에서는 '단도직입적으로, 딱 잘라서' 라는 다른 뜻이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일상 회화적인 뜻과 분리하기 위해 range라는 범위 단어를 같이 쓴 것 같습니다.

 

Shot him point-blank는 아주 가까이에서 그를 총으로 쏘았다. 라는 뜻이 되고

The offer was refused point-blank.는 그 제안은 단도직입적으로, 곧바로 거절됐다. 라는 뜻이 된다네요. 

(출처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885760&memberNo=50236157)

 


 

River : He's just a cog in the machine.


cog는 톱니바퀴에서 하나의 톱니를 일컫는 말로, 'a cog in the machine'은 기계의 톱니바퀴의 톱니 한개를 칭하는 말이므로 이 표현은 '거대한 조직의 아주 작은 일부일 뿐.' 이라는 의미입니다.

 

드라마 내내 쫓던 악당을 구속했지만 그는 거대한 조직의 아주 작은 일부였네요.

앞으로 어떤 에피소드가 펼쳐질지 기대되는 대사입니다!

'드라마로 배우는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시퍼>속 일상 영어 표현 (02)  (0) 2024.08.12